자취 비용 계획 완벽 총정리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자취 비용 계획 완벽 총정리

by 머니혁명 2023. 9. 12.

원룸이나 빌라에 살게 되었을 때 자취비용을 계산하지 않으면 곤란한 상황이 종종 발생합니다. 자취를 시작할 때 필요한 비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자취 비용 계획 완벽총정리 문구 이미지

 

 

1. 자취를 시작하기 전에

자취를 시작하는 분들이 비용에 관한 계획을 세우지 않으면 추가 비용시 많은 부담을 느끼게 됩니다. 이렇게 집을 구하기 전에 비용 계획을 알아보겠습니다. 

 

 

비용 정리

비용은 총 세가지로 나뉠 수 있습니다.

 

비용 설명
초기 비용 한번만 발생하는 초기비용입니다.
고정 비용 살면서 매달 나가는 비용입니다.
추가 비용 추가적으로 들어가는 비용입니다.

 

 

2. 초기비용

초기 비용은 방을 구하는 분들이 딱 한 번만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초기비용은 보증금, 중개보수, 이사비가 있습니다.

 

 

1) 보증금

보증금은 일정한 채무를 담보하기 위해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미리 교부하는 금전 또는 입찰, 경매, 유상계약에서 계약 이행의 담보로서 납입하는 금전을 말합니다. 부동산의 임대차에서는 임차인이나 제3자가 임대인에게 교부하는 금전으로, 매매가의 50~60% 수준을 지불하고 계약 기간이 끝나면 전세금을 100% 돌려받는 것을 말합니다. 월세는 보증금과 별도로 매달 월세를 지급하는데, 보증금이 커질수록 ‘월세’, ‘준월세’, '준전세’로 나뉩니다.

금액이 클 경우엔 대출을 받아봐야할지 알아봐야 합니다.

 

 

2) 중개 보수

부동산 거래를 주선하고 알선하는 공인중개사에게 지급하는 대가를 뜻합니다. 부동산 거래의 종류와 대상에 따라 요율과 한도액이 정해져 있습니다. 중개보수는 거래대금을 완불할 때 지불하며, 중개의뢰인과 중개업자가 약정하되, 법률이 정하는 범위를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부동산 거래에서 중개보수는 거래대금의 일정 비율로 책정됩니다. 주택 매매 거래에서는 거래대금의 0.4% ~ 0.9%, 임대차 거래에서는 0.3% ~ 0.8%13. 이외의 부동산 거래에서는 공인중개사법 시행규칙에서 일률적으로 정해져 있어 지역별 차이가 없습니다.

 

네이버 중개보수 계산기를 이용하면 쉽게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중개보수계산기 : 네이버 통합검색

'중개보수계산기'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3) 이사비

이사비는 대략 10 ~ 30 만 원입니다. 계약이 끝나고 천천히 알아봐도 늦지 않습니다. 이사하는 방법은 총 3가지로 나뉩니다. 

 

이사 유형 내용
자가용 이용하기 본인이나 지인을 차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사비용이 추가로 들지 않습니다. 이사 후 고마움 표시로 식사 대접을 통해 돈이 더 들 수도 있습니다.
카 셰어링, 이사앱 카셰어링은 쏘카나 셰어링앱을 통해 차를 단기간 렌트해 이사하는 방법입니다. 큰 가구를 옮기는게 아니라면 승용차, SUV차로 충분히 이사가 가능합니다.
용달차 이용 용당차 기사님은 어플이나 네이버에서 쉽게 구하실수가 있습니다. 용달차 기사님께 전화해서 비용을 문의하고 날짜를 잡으면 됩니다. 원룸이사는 보통 1톤짜리 트럭을 빌리는데 기본 5만 원 정도이고 이동거리에 따라 추가비용이 발생합니다. 기사님은 짐을 차로 옮기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집까지 가구나 짐을 옮길시에 비용이 5 ~ 20 만원 정도 하며 미리 비용을 책정하고 하시는게 좋습니다.

 

 

 

 

 

3. 고정 비용

매달 나가는 고정비용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고정비용으로는 월세, 관리비, 공과금, 식비와 생활비 등이 있습니다.

 

1) 월세

월세는 최대치를 정해놓은 다음 집을 보러 가기 전에 공인중개사에게 미리 알려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예산에 맞는 집을 보여줍니다. 좋고 이쁘고 인테리어가 잘되고 풀옵션인 예산보다 초과된 집을 보게 되면 잊혀지지가 않아서 예산에 맞는 집이 눈에 안 들어옵니다.

 

 

2) 관리비

관리비는 건물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금액입니다. 엘리베이터 사용요금, 쓰레기 수거, 복도와 계단청소, 공용 공간의 전등 교체등 건물을 관리하는 비용이 기본으로 포함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인터넷이나 인터넷 TV사용료가 포함되기도 합니다.

특히 오피스텔인 경우엔 다른 주거형태보다 건물이 커 관리비가 더 많이 나옵니다. 관리비는 서울기준 주택 5만 원, 오피스텔 10 ~ 15 만 원 정도입니다.

 

 

3) 공과금

공과금은 수도세, 전기세, 난방비를 기본으로 합니다. 수도세만 관리비에 포함되고, 전기세와 난방비는 사용한 만큼 내거나 집마다 납입방식이 상이합니다. 세부내역을 물어보고 별도금액으로 부과되는 사용료가 있는지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4) 식비와 생활비

식비와 생활비는 자취를 시작하면 대부분의 돈이 식비와 통신비, 구독료 등으로 빠지게 됩니다. 하루 식비, 한 달 식비, 구독료, 통신비, 교통비 고정적인 비를 미리 계획을 세워서 부족하지 않게 해야 합니다.

 

 

4. 추가적인 비용

처음 집에 들어오면 기본적인 가구들이 필요합니다. 침대, 매트리스, 침구류, 책장, 책상, 테이블, 상, 조명, 행거, 거울 등을 구매해야 합니다. 나에게 어떤 물건이 당장 필요한지 나열한 후 당장 필요 없는 물건은 줄여서 현명한 계획을 세우셔야 합니다. 

 

 

 

5. 비용 총정리

 

자취 비용 계획표를 세워서 지출을 꼼꼼히 정리하여 돈이 다른 곳으로 새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일회성 지출 보증금 5,000,000
중개보수 110,000
이사비 150,000
총비용  
고정 지출 월세 500,000
기본 관리비 50,000
공과금 30,000
식비 300,000
교통비 70,000
통신비 55,000

 

 

6. 다른 부동산 정보 확인하기

 

 

월세와 전세 장단점 완벽정리

집 구하는 문제는 상당히 중요합니다. 어떤 사람은 월세가 이득이고, 어떤 사람은 전세가 유리하다고 합니다. 다음 비교를 통해 월세와 전세를 파악하고 비교해 보도록 해보겠습니다. 1. 월세란

cryptoswap.tistory.com

 

 

오피스텔, 빌라, 쉐어하우스, 고시원 주거형태 알아보기

주거형태로 빌라, 오피스텔, 쉐어하우스가 있습니다. 각 주거형태에 장단점을 파악해 보겠습니다. 1. 오피스텔이란? 오피스텔은 오피스와 호텔을 합친 형태로 일을 할 수 있게 만든 건축물입니

cryptoswap.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