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9/14 Bloomberg>
1) 미국 CPI 불안
8월 미국 근원 인플레이션이 시장 예상보다 높게 나와 연준이 연내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을 뒷받침. 식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비 0.3% 상승해 6개월 만에 처음으로 속도가 다시 가팔라졌음. 헤드라인 CPI 상승률은 전월비 0.6%로 1년여래 고점으로 올랐고, 전년비는 3.7%로 예상치 3.6%을 소폭 상회. CPI 지표를 발표한 노동통계청에 따르면 휘발유 비용이 8월 헤드라인 CPI 상승의 절반 이상을 차지. Lombard Odier Asset Management는 에너지 가격 상승이 주효한 만큼 연준이 당장 크게 걱정할 이유는 없다고 진단
2) 낙관론 경계
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은 미국이 경기 침체를 겪지 않고 인플레이션을 진압할 수 있을 것이란 지나친 낙관론을 경계. “그같은 연착륙을 달성할 수 있는 창은 매우 좁다”며, 현재 “2% 인플레이션 경제”라고 부를만한 신호가 없다고 진단. 따라서 연준이 금리를 더 올려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 그는 연착륙과 경착륙, 인플레이션이 3% 밑으로 떨어지지 않는 소위 “노랜딩”의 시나리오가 각각 확률이 3분의 1씩이라고 분석. “사람들은 승리를 선언하는데 있어 매우 조심해야만 한다. 특히 주식 시장에서 더욱 그러하다”며, 완벽한 상황만을 가정해 가격을 반영한 거품일 수도 있다고 경고
3) EU, 중국 전기자동차 보조금 조사 착수
유럽연합(EU)이 중국의 전기자동차 보조금에 대한 조사에 착수. 값싼 수입차의 홍수를 막기 위한 노력이지만, 자칫 중국의 보복으로 EU 내 자동차 제조업체가 타격을 입을 수도 있음. EV 시장 규모와 급속한 성장세를 고려할 때 이번 조사에 따른 잠재적 상계관세는 이전의 보조금 금지 조치보다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글로벌 시장이 값싼 중국산 자동차로 넘쳐나고 있다며, EU는 반격에 나설 계획이라고 언급. “그들의 가격은 막대한 국가 보조금으로 인해 인위적으로 낮게 유지되고 있다”며, “이것이 우리 시장을 왜곡하고 있다”고 주장
4) 미-중 갈등, 이번엔 아이폰
중국이 아이폰의 구매를 막지는 않는다면서도 보안 문제를 제기. 중국 당국이 민감한 정부부처와 국영기업에서 애플 제품의 사용을 제한하려 한다는 뉴스 보도가 전해진 이후 첫 공식 발언. Mao Ning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애플 휴대폰과 관련해 보안 사고에 대한 많은 언론 보도가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언급. 또한 “중국은 애플이나 외국산 브랜드의 핸드폰 구매를 금지하는 법령이나 규제를 발표하지 않았다”면서도, 중국 정부는 보안을 중시하고 있으며 중국에서 사업하는 모든 기업은 중국의 법과 규제를 따라야 한다고 강조. 백악관은 관련 보도를 주시하고 있다며 중국의 움직임이 미국에 대한 보복이라고 주장
5) 씨티그룹 구조개혁
씨티그룹이 20년만에 대대적 구조개혁을 단행하면서 인력 감축도 준비. 씨티는 앞으로 5개 주요 사업군으로 운영되며, 약 160개국을 총괄하는 3명의 지역 책임자 자리는 없애기로 했음. 적어도 4명의 고위 부행장급이 새로운 역할을 맡았으며, 투자은행을 포함한 뱅킹 부문의 사장직을 공모 중. 그 과정에서 백오피스 부문의 일자리가 축소될 예정으로, 구체적인 감원 목표는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짐
(자료: Bloomberg News)
'AI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월 18일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 Bloomberg (0) | 2023.09.18 |
---|---|
9월18일 데일리 뉴스(AI,핀테크,스타트업,블록체인) (0) | 2023.09.18 |
9월15일 데일리 뉴스(AI,핀테크,스타트업,블록체인) (1) | 2023.09.15 |
9월14일 데일리 뉴스 (AI,핀테크,스타트업,블록체인) (0) | 2023.09.14 |
9월13일 데일리 뉴스(AI,핀테크,스타트업,블록체인) (0) | 2023.09.13 |
댓글